발급 받은 할인권은 9월 2일까지 요일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1인당 영화관별 최대 2매까지 가능합니다.
독립·예술영화관, 작은영화관, 실버영화관 등에서도 일부 할인권이 제공될 예정입니다.
문체부 영화할인권 전국
할인권은 전국 CGV, 롯데시네마, 메가박스, 씨네큐 누리집과 앱에서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발급은 선착순이며, 각 영화관별 준비 수량 소진 시 조기 마감됩니다.
문체부 영화할인권 1,000원 관람
영화관 할인권은 1매당 6000원을 할인받을 수 있으며, 할인 후 입장권 가격이 1000원 미만이면 최소 부담액 1000원이 적용됩니다.
특히 매달 마지막 수요일 ‘문화가 있는 날’과 중복 적용이 가능해, 기존 입장권 가격 7000원에서 6000원 추가 할인을 받아 단 1,000원에 영화를 관람할 수 있습니다.
문화가 있는 날 외에도 장애인 우대, 경로 우대, 청소년 할인, 조조할인 등 기존 영화관 할인과 중복 적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통신사 멤버십 할인은 중복 적용되지 않으며, 제휴카드 청구할인은 카드사별 결제 조건을 충족할 경우에만 적용됩니다.
다양한 영화관과 현장 발급도 지원
이번 영화관 할인권은 멀티플렉스뿐 아니라 독립·예술영화전용관, 작은영화관, 실버영화관 등 다양한 형태의 영화관에서 제공됩니다.
원칙적으로 누리집에서 발급하지만, 시스템상 발급이 불가능한 영화관은 현장에서 선착순으로 할인 혜택을 제공합니다. 참여 영화관 목록은 7월 25일 영화진흥위원회 누리집(www.kofic.or.kr)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용자는 발급받은 할인권을 예매 시 즉시 적용할 수 있으며, 지역 제한 없이 전국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습니다. 발급 수량이 소진되면 9월에 추가 배포가 예정돼 있어, 1차에 놓친 경우라도 다시 기회를 얻을 수 있습니다.
문체부 영화할인, 수요 확대 기대
문화체육관광부는 여름방학과 휴가철을 맞아 이번 영화관 할인권 지원이 영화관 관람 수요를 높이고 침체된 영화산업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문체부 정책담당자는 “이번 영화관 할인권 지원으로 국민들이 저렴하게 영화를 즐기고, 영화관도 활기를 되찾기를 바란다”며 “앞으로도 현장 수요를 반영해 문화 향유 기회를 확대하고 산업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소비자는 할인권 발급일과 사용기한을 미리 확인하고, 문화가 있는 날과 같은 추가 혜택을 활용하면 더욱 경제적으로 영화 관람을 즐길 수 있습니다.
'실시간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연·전시 할인권 210만 장 배포…8일부터 본격 시작 (2) | 2025.08.08 |
---|---|
어르신 스포츠 상품권 신청 방법 사용처 최대15만원 (1) | 2025.08.08 |
무주택 자격요건 2025 월세 지원금 (3) | 2025.08.07 |
아빠 육아휴직 보너스제 신청 방법 (1) | 2025.08.07 |
디지털 온누리 상품권 사용방법 사용처 10% 할인 (0) | 2025.08.07 |